2015년도 2회 소방설비기사 과년도입니다. 정답지를 따로 구성하지 않고 문제 상단의 더보기를 누르면 볼 수 있게 구성하였습니다. 일정 퍼센트 이상이 과년도에 출제된 문제가 반복 출제되오니. 반복만 하셔도 토씨 하나 안 틀리고 그대로 나옵니다. 자주 눈에 익혀두시면 됩니다.
목차
【1과목】 소방원론
【2과목】 소방전기일반
【3과목】 소방관계법규
【4과목】 소방 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
【1과목】 소방원론 (20문제)
[ 1.] 분진폭발을 일으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?
- 시멘트 분말
- 마그네슘 분말
- 석탄 분말
- 알루미늄 분말
[ 2.] 화재강도(Fire intensity)와 관계가 없는 것은?
- 가연물의 비표면적
- 발화원의 온도
- 화재실의 구조
- 가연물의 발열량
[ 3.] 화재 시 분말 소화약제와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소화약제는?
- 수성막포 소화약제
- 단백포 소화약제
- 알콜형포 소화약제
- 합성계면활성제포 소화약제
[ 4.] 표준상태에서 메탄가스의 밀도는 몇 g/L인가?
- 0.21
- 0.41
- 0.71
- 0.91
[ 5.] 플래시 오버(Flash over)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산소의 농도와 무관하다.
- 화재공간의 개구율과 관계가 있다.
- 화재공간내의 가연물의 양과 관계가 있다.
- 화재실내의 가연물의 종류와 관계가 있다.
[ 6.] 유류탱크 화재 시 기름 표면에 물을 살수하면 기름이 탱크 밖으로 비산하여 화재가 확대되는 현상은?
- 스롭 오버(Slop over)
- 보일 오버(Boil over)
- 프로스 오버(Froth over)
- 블레비(BLEVE)
[ 7.]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효과는?
- 제거소화
- 억제소화
- 질식소화
- 냉각소화
[ 8.]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?
- 10초 이내
- 20초 이내
- 30초 이내
- 40초 이내
[ 9.]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가연성 고체는 제 몇 류 위험물인가?
- 제1류
- 제2류
- 제3류
- 제4류
[ 10.]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원이 아닌 것은?
- 저항가열
- 마찰스파크
- 유도가열
- 유전가열
[ 11.] 가연물이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산화열의 축적으로 발화되는 현상은?
- 분해연소
- 자기연소
- 자연발화
- 폭굉
[ 12.] 화재 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산소농도를 13vol%로 낮추어 소화하기 위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약 몇 vol % 인가?
- 9.5
- 25.8
- 38.1
- 61.5
[ 13.] 저팽창포의 고팽창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포 소화약제는?
- 단백포 소화약제
- 수성막포 소화약제
- 불화단백포 소화약제
- 합성계면활성제포 소화약제
[ 14.] 방화구조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심벽에 흙으로 맞벽치기한 것
-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두께가 2cm 이상인 것
-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1.5cm 이상인 것
-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.5cm 이상인 것
[ 15.]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적용대상이 아닌 것은?
- 가솔린
- 전기설비
- 인화성 고체 위험물
- 니트로셀로로오스
[ 16.] 목조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옥내출화 시기를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?
- 천장 속, 벽속 등에서 발염 착화할 때
- 창, 출입구 등에 발염 착화할 때
- 가옥의 구조에는 천장면에 발염 착화할 때
- 불연 벽체나 불연 천장인 경우 실내의 그 뒷면에 발염 착화할 때
[ 17.] 소화약제로서 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수소결합을 하므로 증발잠열이 작다.
- 가스계 소화약제에 비해 사용 후 오염이 크다.
- 무상으로 주수하면 중질유 화재에도 사용할 수 있다.
- 타 소화약제에 비해 비열이 크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우수하다.
[ 18.] 건축물의 방재계획 중에서 공간적 대응 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- 도피성 대응
- 대항성 대응
- 회피성 대응
- 소방시설방재 대응
[ 19.] 제6류 위험물의 공통성질이 아닌 것은?
- 산화성 액체이다.
- 모두 유기화합물이다.
- 불연성 물질이다.
- 대부분 비중이 1보다 크다.
[ 20.] 분말 소화약제의 열분해 반응식 중 옳은 것은?
- 2KHCO₃ → KCO₃ + 2CO₂ + H₂O
- 2NaHCO₃ → NaCO₃ + 2CO₂ + H₂O
- NH₄H₂PO₄ → HPO₃ + NH₃ + H₂O
- 2KHCO₃ → (NH₂)₂CO + K₂CO₃ + NH₂ + CO₂
【2과목】 소방전기일반 (20문제)
[ 21.] 개루프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 직접제어계에 가해지는 신호는?
- 기준입력신호
- 피드백신호
- 제어편차신호
- 동작신호
[ 22.] 반파 정류 정현파의 최대값이 1일 때, 실효값과 평균값은?
- 1/√2, 2/π
- 1/2, π/2
- 1/√2, π/(2√2)
- 1/2, 1/π
[ 23.] 한 코일의 전류가 매초 150A 의 비율로 변화할 때 다른 코일에 10V 기전력이 발생하였다면 두 코일 상호 인덕턴스(H)는?
- 1/3
- 1/5
- 1/10
- 1/15
[ 24.] 반도체의 특징을 설명 한 것 중 틀린 것은?
- 진성 반도체의 경우 온도가 올라 갈수록 양(+)의 온도 계수를 나타낸다.
- 열전현상, 광전현상, 홀효과 등이 심하다.
- 반도체와 금속의 접촉면 또는 P형, N형 반도체외 접합면에서 정류작용을 한다.
- 전류와 전압의 관계는 비직선형이다.
[ 25.] 서보 기구에 있어서의 제어량은?
- 유량
- 위치
- 주파수
- 전압
[ 26.] 온도, 유량, 압력 등의 공업프로세스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계로서 외란의 억제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제어방식은?
- 1/√3 서보기구
- 1/3 자동제어
- √3 정치제어
- 프로세스제어
[ 27.] Y-△ 기동방식인 3상 농형 유도전동기는 직입기동방식에 비해 기동전류는 어떻게 되는가?
- 1/√3로 줄어든다.
- 1/3로 줄어든다.
- √3 배로 증가한다.
- 3 배로 증가한다.
[ 28.] 주파수 60Hz, 인덕턴스 50mH인 코일의 유도리액턴스는 몇 Ω인가?
- 14.14
- 18.85
- 22.12
- 26.86
[ 29.] 주로 정전압 회로용으로 사용되는 소자는?
- 터널다이오드
- 포토다이오드
- 제너다이오드
- 매트릭스다이오드
[ 30.] 논리식
A를 간략화한 것은?
-  ̄A
- A
- 0
- ø
[ 31.] 실리콘 정류기(SCR)의 애노드 전류가 5A 일 때 게이트 전류를 2배로 증가시키면 애노드 전류[A]는?
- 2.5
- 5
- 10
- 20
[ 32.]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차 철손이 작은 이유는?
- 효율, 역률이 나쁘다.
- 성층 철심을 사용한다.
- 주파수가 낮다.
- 2차가 권선형이다.
[ 33.] 그림과 같은 게이트의 명칭은?
- AND
- OR
- NOR
- NAND
[ 34.] 피드백제어계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은 것은?
- 계의 정확성이 떨어진다.
-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감소된다.
- 비선형과 왜형에 대한 효과가 증대된다.
- 대역폭이 감소된다.
[ 35.] 선간전압이 일정한 경우 △ 결선된 부하를 Y결선으로 바꾸면 소비전력은 어떻게 되는가?
- 1/3
- 1/9
- 3 배로 증가한다.
- 9 배로 증가한다.
[ 36.] 저항이 있는 도체에 전류를 흘리면 열이 발생되는 법칙은?
- 옴의 법칙
- 플레밍의 법칙
- 줄의 법칙
- 키르히호프의 법칙
[ 37.] 반도체를 사용한 화재감지기 중 서미스터(Thermistor)는 무엇을 측정,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인가?
- 온도
- 연기 농도
- 가스 농도
- 불꽃의 스펙트럼 강도
[ 38.] A, B 두 개의 코일에 동일 주파수, 동일 전압을 가하면 두 코일의 전류는 같고, 코일 A는 역률이 0.96, 코일 B는 역률이 0.80인 경우 코일 A에 대한 코일 B의 저항비는 얼마인가?
- 0.833
- 1.544
- 3.211
- 7.621
[ 39.] 2Ω 의 저항 5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병렬연결 때의 몇 배가되는가?
- 2
- 5
- 10
- 25
[ 40.] 단상전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3전압계법을 사용하는 경우 단상교류전력 P[W]는?
【3과목】 소방관계법규 (20문제)
[ 41.] 소방자동차의 출동을 방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얼마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가?
- 1천5백만 원
- 2천만 원
- 3천만 원
- 5천만 원
[ 42.] 제4류 위험물로서 제1석유류인 수용성 액체의 지정수량은 몇 리터인가?
- 100
- 200
- 300
- 400
[ 43.]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 상태에서 인화점이 40℃ 미만인 고체에 해당하는 것은?
- 가연성고체
- 산화성고체
- 인화성고체
- 자연발화성물질
[ 44.] 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?
- 산림
- 항해중인 선박
- 건축물
- 차량
[ 45.]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?
-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m 이상인 것
-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연면적 400㎡ 이상인 건축물
- 지하층의 바닥면적이 100㎡ 이상으로 공연장인 건축물
- 35명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작업장
[ 46.] 시·도지사가 소방시설업의 등록취소처분이나 영업정지처분을 하고자 할 경우 실시하여야 하는 것은?
- 청문을 실시하여야 한다.
- 징계위원회의 개최를 요구하여야 한다.
- 직권으로 취소 처분을 결정하여야 한다.
- 소방기술심의위원회의 개최를 요구하여야 한다.
[ 47.] 다음은 소방기본법의 목적을 기술한 것이다. (가), (나), (다)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?
[ 화재를 ( ㉮ )·( ㉯ )하거나 ( ㉰ )하고 화재, 재난·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·구급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·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질서 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.]
- (가) 예방, (나) 경계, (다) 복구
- (가) 경보, (나) 소화, (다) 복구
- (가) 예방, (나) 경계, (다) 진압
- (가) 경계, (나) 통제, (다) 진압
[ 48.] 위험물 제조소 등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대상은?
- 옥내에서 지정수량 50배의 위험물을 저장·취급하고 있는 일반취급소
- 하루에 지정수량 50배의 위험물을 제조하고 있는 제조소
- 지정수량의 100배의 위험물을 저장·취급하고 있는 옥내저장소
- 연면적 100㎡ 이상의 제조소
[ 49.] 소방시설 중 화재를 진압하거나 인명구조활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설비로 나열된 것은?
- 상수도소화용설비, 연결송수관설비
- 연결살수설비, 제연설비
- 연소방지설비, 피난설비
- 무선통신보조설비, 통합감시시설
[ 50.] 다음 중 스프링클러설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숙박시설로 11층 이상인 것
- 지하가로 연면적이 1000 ㎡ 이상인 것
- 판매시설로 수용인원이 300인 이상인 것
- 복합건축물로 연면적 5000 ㎡ 이상인 것
[ 51.] "무창층"이라 함은 지상층 중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얼마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하는가?
- 1/3
- 1/10
- 1/30
- 1/300
[ 52.] 다음 중 특수가연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- 나무껍질 500kg
- 가연성고체류 2000kg
- 목재가공품 15㎥
- 가연성액체류 3㎥
[ 53.] 소화활동을 위한 소방용수시설 및 지리조사의 실시 횟수는?
- 주 1회 이상
- 주 2회 이상
- 월 1회 이상
- 분기별 1회 이상
[ 54.] 인접하고 있는 시·도간 소방업무의 상호응원협정 사항이 아닌 것은?
- 화재조사 활동
- 응원출동의 요청방법
- 소방교육 및 응원출동훈련
- 응원출동대상지역 및 규모
[ 55.] 제1류 위험물 산화성고체에 해당하는 것은?
- 질산염류
- 특수인화물
- 과염소산
- 유기과산화물
[ 56.] 소방대상물에 대한 개수 명령권자는?
-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
- 한국소방안전협회장
- 시·도지사
- 국무총리
[ 57.] 다음 중 소방용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- 방염도료
- 소방호스
- 공기호흡기
- 휴대용비상조명등
[ 58.] 다음 소방시설 중 하자보수보증기간이 다른 것은?
- 옥내소화전설비
- 비상방송설비
- 자동화재탐지설비
- 상수도소화용수설비
[ 59.] 소방시설업자가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 대한 통보 의무사항이 아닌 것은?
- 지위를 승계한 때
- 등록취소 또는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때
- 휴업 또는 폐업한 때
- 주소지가 변경된 때
[ 60.] 특정소방대상물 중 노유자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?
- 요양병원
- 아동복지시설
- 장애인직업재활시설
- 노인의료복지시설
【4과목】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(20문제)
[ 61.] 다음 ( )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[ 고압이라 함은 직류는 ( ㉠ )V를, 교류는 ( ㉡ )V를 초과 하고 ( ㉢ )kV 이하인 것을 말한다. ]
- (가) 750 (나) 600 (다) 7
- (가) 600 (나) 750 (다) 7
- (가) 600 (나) 700 (다) 10
- (가) 700 (나) 600 (다) 10
[ 62.] 유도표지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?
- 계단에 설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각 층마다 복도 및 통로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유도표지까지의 보행거리가 15m 이하가 되는 곳에 설치한다.
- 피난구유도표지는 출입구 상단에 설치한다.
- 통로유도표지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.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.
- 주위에는 이와 유사한 등화·광고물·게시물 등을 설치하지 않는다.
[ 63.]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형식이 아닌 것은?
- 가용절연물을 이용한 방식
- 줄열을 이용한 방식
- 바이메탈의 반전을 이용한 방식
- 금속의 팽창계수차를 이용한 방식
[ 64.] 일반전기사업자로부터 특별고압 또는 고압으로 수전하는 비상전원수전설비의 형식 중 틀린 것은?
- 큐비클(Cubicle)형
- 옥내개방형
- 옥외개방형
- 방화구획형
[ 65.] 피난통로가 되는 계단이나 경사로에 설치하는 통로유도등으로 바닥면 및 디딤 바닥면을 비추어 주는 유도등은?
- 계단통로유도등
- 피난통로유도등
- 복도통로유도등
- 바닥통로유도등
[ 66.] 비상방송설비의 음향장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할 것
- 5층 건물 중 2층에서 화재발생시 1층, 2층, 3층에서 경보를 발할 수 있을 것
-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 수신 후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할 것
- 음향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별도로 작동하는 방식의 성능으로 할 것
[ 67.]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적합한 기준이 아닌 것은?
-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.8 m 이상 1.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
- 사용 시 자동으로 점등되는 구조일 것
-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
- 충전식 밧데리의 용량은 1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있는 것으로 할 것
[ 68.] 비상콘센트설비에 자가발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할 때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이 중단된 때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할 것
- 비상콘센트설비를 유효하게 1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
- 점검이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
-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
[ 69.] 축광유도표지의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조도 01x에서 몇 분간 발광 후 몇 mcd/㎡ 이상이어야 하는가?
- 30분, 20mcd/㎡
- 30분, 7mcd/㎡
- 60분, 20mcd/㎡
- 60분, 7mcd/㎡
[ 70.] 연기감지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소는?
- 계단 및 경사로
- 엘리베이터 승강로
- 파이프 피트 및 덕트
- 20m인 복도
[ 71.] 감지기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?
-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에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
- 차동식분포형의 것을 제외하고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.5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것
- 정은식감지기는 주방·보일러실 등으로서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, 공칭작동온도가 주위온도보다10℃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
- 스포트형감지기는 45˚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
[ 72.] 비상방송설비에 사용되는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 그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는 최대 몇 m 이하인가?
- 15
- 20
- 25
- 30
[ 73.] 비상콘센트보호함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하여야 한다.
-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하여야 한다.
- 보호함 표면에 "비상콘센트" 라고 표시한 표지를 하여야한다.
-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내소화전함의 표시등과 분리하여야 한다.
[ 74.]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화재 시 자동으로 소방관서에 연락되는 설비여야 한다.
-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되어야 한다.
-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.8m 이상 1.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.
- 관계인이 24시간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.
[ 75.] 수신기를 나타내는 소방시설 도시기호로 옳은 것은?
[ 76.] 다음 ( )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[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선기기 접속단자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( ㉠ )이내마다 설치하고,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접속단자에서 ( ㉡ ) 이상의 거리 를 둘 것 ]
- (가) 400m (나) 5m
- (가) 300m (나) 5m
- (가) 400m (나) 3m
- (가) 300m (나) 3m
[ 77.]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서 변류기의 설치위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제1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
- 옥외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에 설치
- 인입구에 근접한 옥외에 설치
- 제3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
[ 78.] 감도조정장치를 갖는 누전경보기에 있어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치가 몇 A 이어야 하는가?
- 0.2
- 1.0
- 1.5
- 2.0
[ 79.] 다음 ( )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?
[ 누전경보기란 ( )이하인 경계전로의 누설전류 또는 지략전류를 검출하여 당해 소방대상 물의 관계인에게 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. ]
- 사용전압 220V
- 사용전압 380V
- 사용전압 600V
- 사용전압 750V
[ 80.] 부착높이 20m 이상에 설치되는 광전식 중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 공칭감지농도 하한값의 기준은?
- 감광율 5%/m 미만
- 감광율 10%/m 미만
- 감광율 15%/m 미만
- 감광율 20%/m 미만
현재보고계신버전은 2015년 2회버전입니다.
[관련자료]
2022.02.10 - [소방설비(전기분야)] - 2015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기출문제
2022.02.12 - [소방설비(전기분야)] - 2015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기출문제
과년도 풀이의 핵심은 자주보는것입니다. 틈나는대로 눈에 익혀두세요.
'소방설비기사-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6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3 |
---|---|
2015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기출문제 (0) | 2022.02.12 |
2015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기출문제 (2) | 2022.02.10 |
2014년 4회 소방설비(전기) 필기시험 기출문제 (0) | 2022.02.10 |
2014년 2회 소방설비(전기) 필기시험 기출문제 (0) | 2022.02.1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