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년도 제 2회 소방설비기사입니다. 과년도만 보시어 합격하시길 바랍니다. 시험일시기준 한달전에 시작하시면 충분합니다. 효율적으로 과년도만 보시면 합격합니다.
2017년 2회 소방설비기사-목차
【1과목】 소방원론
【2과목】 소방전기일반
【3과목】 소방관계법규
【4과목】 소방 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
【1과목】 소방원론 (20문제)
[ 1.] 화재 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 하려고 할 때 산소의 농도를 13vol.%로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려면 공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약 몇 vol.%가 되어야 하는가?
- 18.1
- 28.1
- 38.1
- 48.1
[ 2.] 건물화재의 표준시간-온도곡선에서 화재발생 후 1시간이 경과할 경우 내부 온도는 약 몇 ℃ 정도 되는가?
- 225
- 625
- 840
- 925
[ 3.] ( 프로판 50vol.%, 부탄 40vol.%, 프로필렌 10vol.%로 된 혼합가스 )의 폭발하한계는 약 vol.%인가?
(단, 각 가스의 폭발하한계는 프로판은 2.2vol.%, 부탄은 1.9vol.% 프로필렌은 2.4vol.%이다.)
- 0.83
- 2.09
- 5.05
- 9.44
[ 4.] 유류탱크에 화재 시 발생하는 슬롭오버(Slop over)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소화 시 외부에서 방사하는 포에 의해 발생한다.
- 연소유가 비산되어 탱크 외부까지 화재가 확산된다.
- 탱크의 바닥에 고인 물의 비등 팽창에 의해 발생한다.
- 연소면의 온도가 100℃ 이상일 때 물을 주구하면 발생된다.
[ 5.] 에테르, 케톤. 에스테르, 알데히드, 카르복실산. 아민 등과 같은 가연성인 수용성 용매에 유효한포 소화약제는?
- 단백포
- 수성막포
- 불화단백포
- 내알콜포
[ 6.] 화재의 소화원리에 따른 소화방법의 적용으로 틀린 것은?
- 냉각소화 : 스프링쿨러설비
- 질식소화 : 이산화탄소 소화설비
- 제거소화 : 포소화설비
- 억제소화 :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
[ 7.] 동식물유류에서 “요오드값이 크다.” 라는 의미를 옳게 설명한것은?
- 불포화도가 높다.
- 불건성유이다.
- 자연발화성이 낮다.
- 산소와의 결합이 어렵다.
[ 8.] 다음 중 연소 시 아황산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?
- 적린
- 유황
- 트리에틸알루미늄
- 황린
[ 9.]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 할 때 발생되는 기체는?
- 일산화탄소
- 아세틸렌
- 황화수소
- 수소
[ 10.] 주성분이 인산염류인 제3종 분말소화약제가 다른 분말소화약제와 다르게 A급 화제에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?
- 열분해 생성물인 CO₂가 열을 흡수하므로 냉각에 의하여 소화된다.
- 열분해 생성물인 수증기가 산소를 차단하여 탈수작용 한다.
- 열분해 생성물인 메타인산(HPO₃)이 산소의 차단 역할을 하므로 소화가 된다.
- 열분해 생성물인 암모니아가 부촉매 작용을 하므로 소화가된다.
[ 11.] 표면온도가 300℃에서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된 히터의표면온도가 360℃로 상승하면 300℃에 비하여 약 몇 배의열을 방출할 수 있는가?
- 1.1배
- 1.5배
- 2.0배
- 2.5배
[ 12.] 화재를 소화하는 방법 중 물리적 방법에 의한 소화가 아닌것은?
- 억제소화
- 제거소화
- 질식소화
- 냉각소화
[ 13.] 위험물의 유별 성질이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은 제 몇류 위험물인가?
- 제1류 위험물
- 제2류 위험물
- 제3류 위험물
- 제4류 위험류
[ 14.] 다음 중 열전도율이 가장 작은 것은?
- 알루미늄
- 철재
- 은
- 암면(광물섬유)
[ 15.] 건축물의 피난동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피난동선은 가급적 단순한 형태가 좋다.
- 피난동선은 가급적 상호 반대방향으로 다수의 출구와 연결되는 것이 좋다.
- 피난동선은 수평동선과 수직동선으로 구분된다.
- 피난동선은 복도, 계단을 제외한 엘리베이터와 같은 피난전용의 통행구조를 말한다.
[ 16.] 공기와 할론 1301의 혼합기체에서 할론 1301에 비해 공기의확산속도는 약 몇 배인가? (단, 공기의 평균분자량은 29, 헐론 1301의 분자량은 149이다.)
- 2.27배
- 3.85배
- 5.17배
- 6.46배
[ 17.] 내화구조의 기준 중 벽의 경우 벽돌조로서 두께가 최소 몇cm 이상이어야 하는가?
- 5
- 10
- 12
- 19
[ 18.] 가연물이 연소가 잘 되기 위한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?
- 열전도율이 클 것
- 산소와 화학적으로 친화력이 클 것
- 표면적이 클 것
- 활성화에너지가 작을 것
[ 19.] 질식소화 시 공기 중의 산소농도는 일반적으로 약 몇 vol.%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
- 25
- 21
- 19
- 15
[ 20.] 다음 원소 중 수소와의 결합력이 가장 큰 것은?
- F
- Cl
- Br
- I
【2과목】 소방전기일반 (20문제)
[ 21.]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a-b간의 합성저항은 몇 Ω인가?
- 2.5
- 5
- 7.5
- 10
[ 22.] 그림은 개루프 제어계의 신호전달 계통도이다. 다음 ( )안에 알맞은 제어계의 동작요소는?
- 제어량
- 제어대상
- 제어장치
- 제어요소
[ 23.] 3상 농형유도전동기의 기동방식으로 옳은 것은?
- 분상기동형
- 콘덴서기동형
- 기동보상기법
- 셰이딩일체형
[ 24.] 제어기기 및 전자회로에서 반도체소자별 용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- 서미스터 : 온도 보상용으로 사용
- 사이리스터 : 전기신호를 빛으로 변환
- 제너다이오드 : 정전압소자 (전원전압을 일정하게 유지)
- 바리스터 : 계전기 점검에서 발생하는 불꽃소거에 사용
[ 25.] 2차계에서 무제동으로 무한 진동이 일어나는 감쇠율 (damping ration) δ는 어떤 경우인가?
- δ=0
- δ 〉 1
- δ=1
- 0 〈 δ 〈 1
[ 26.] R-L-C 회전의 전압과 전류 파형의 위상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R-L 병렬 회로 : 전압과 전류는 동상이다.
- R-L 직렬 회로 : 전압이 전류보다 θ만큼 앞선다.
- R-C 병렬 회로 : 전류가 전압보다 θ만큼 앞선다.
- R-C 직렬회로 : 전류가 전압보다 θ만큼 앞선다.
[ 27.] 지름 8㎜의 경동선 1 km의 저항을 측정하였더니 0.63536Ω 이었다. 같은 재료로 지름 2㎜, 길이 500m의 경동선의 저항은 약 몇 Ω인가?
- 2.8
- 5.1
- 10.2
- 20.4
[ 28.] 정현파교류의 최대값이 100V인 경우 평균값은 몇 V인가?
- 45.04
- 50.64
- 63.69
- 69.34
[ 29.] 자동제어 중 플랜트나 생산 공정 중의 상태량을 제어량으로 하는 제어방법은?
- 정치제어
- 추종제어
- 비율제어
- 프로세스제어
[ 30.]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회로의 길이가 500m이고, 종단에 8kΩ의 저항이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24V의 전압이 가해졌을 경우 도통 시험 시 전류는 약 몇 mA인가? ( 단, 동선의 저항률은 1.69×10⁻⁸Ω∙m이며, 동선의 단면적은 [ 2.]5㎟이고, 접촉저항 등은 없다고 본다. )
- 2.4
- 3.0
- 4.8
- 6.0
[ 31.] 그림과 같은 회로 A, B 양단에 전압을 인가하여 서서히 상승시킬 때 제일 먼저 파괴되는 콘덴서는? (단, 누전체의 재질 및 두께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.)
- 1C
- 2C
- 3C
- 모두
[ 32.] 정현파 교류회로에서 최대값은 Vm, 평균값은 Vav일 때 실효 값(V)은?
- π/√2 Vm
- π/(2√2) Vav
- π/(2√2) Vm
- 1/π Vm
[ 33.] 직류 전압계의 내부저항이 500Ω, 최대 눈금이 50V라면, 이 전압계에 3kΩ의 배율기를 접속하여 전압을 측정할 때 최대 측정치는 몇 V인가?
- 250
- 303
- 350
- 500
[ 34.] 저항 R₁, R₂와 인덕턴스 L의 직렬회로가 있다. 이 회로의 시 정수는?
[ 35.] 화재 시 온도상승으로 인해 저항 값이 감소하는 반도체 소자는?
- 서미스터(NTC)
- 서미스터(PTC)
- 서미스터(CTR)
- 바리스터
[ 36.] Y-△ 기동방식으로 운전하는 3상 농형유도전동기의 Y결선의 기동전류(IY)와 △결선의 기동전류 (I△)의 관계로 옳은 것은?
[ 37.] 그림과 같은 회로에 전압 v=√2Vsinωt[V]를 인가하였을 때 옳은 것은?
[ 38.] 다음 무접점회로의 논리식(X)은?
- A ∙ B +  ̄C
- A + B +  ̄C
- ( A + B ) ∙  ̄C
- A ∙ B ∙  ̄C
[ 39.] 동선의 저항이 20℃일 때 0.8Ω이라 하면 60℃일 때의 저항은 약 몇 Ω인가? (단, 동선의 20℃의 온도계수는 0.0039이다.)
- 0.034
- 0.925
- 0.644
- 2.4
[ 40.] 어떤 전지의 부하로 6Ω을 사용하니 3A의 전류가 흐르고, 이 부하에 직렬로 4Ω을 연결했더니 2A가 흘렀다. 이전지의 기 전력은 몇 V인가?
- 8
- 16
- 24
- 32
【3과목】 소방관계법규 (20문제)
[ 41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상 특정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소방시설에 폐쇄(잠금을 포함)·차단등의 행위를 하여서 사람을 상해에 이르게 한 때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
-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0만 원 이하의 벌금
-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
-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
[ 42.] 소방기본법령상 불꽃을 사용하는 용접·용단 기구의 용접 또는 용단 작업장에서 지켜야 하는 사항 중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
- 용접 또는 용단 작업자로부터 반경 ( ㉠ )m 이내에 소화기를 갖추어 둘 것
- 용접 또는 용단 작업장 주변 반경 ( ㉡ )m 이내에는 가연물을 쌓아두거나 놓아두지 말 것. 다만, 가연물의 제거가 곤란하면 방지포 등으로 방호 조치를 한 경우는 제외한다.
- ㉠ 3, ㉡ 5
- ㉠ 5, ㉡ 3
- ㉠ 5, ㉡ 10
- ㉠ 10, ㉡ 5
[ 43.] 화재위험도가 낮은 특정소방대상물 중 소방대가 조직되어 24시간 근무하고 있는 청사 및 차고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있는 소방시설이 아닌 것은?
- 자동화재탐지설비
- 연결송수관설비
- 피난기구
- 비상방송설비
[ 44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시·도지사가 실시하는 방염성능 검사 대상으로 옳은 것은?
- 설치 현장에서 방염처리를 하는 합판·목재
- 제조 또는 가공 공정에서 방염처리를 한 카펫
- 제조 또는 가공 공정에서 방염처리를 한 창문에 설치하는 블라인드
- 설치 현장에서 방염처리를 하는 암막·무대막
[ 45.] 제조소등의 위치·구조 및 설비의 기준 중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의 환기설비 설치 기준으로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
[ 급기구는 당해 급기구가 설치된 실의 바닥면적 ( ㉠ ) 마다 1개 이상으로 하되, 급기구의 크기는 ( ㉡ ) 이상으로 할 것 ]
- ㉠ 100, ㉡ 800
- ㉠ 150, ㉡ 800
- ㉠ 100, ㉡ 1000
- ㉠ 150, ㉡1000
[ 46.]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시설의 변경 기준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제조소등의 위치·구조 또는 설비의 변경 없이 당해 제조소등에서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위험물의 품명·수량 또는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고자 하는 자는 변경하고자 하는날의 ( ㉠ )일 전까지 총리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( ㉡ )에게 신고하여야 한다.
- ㉠ 1, ㉡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
- ㉠ 1, ㉡ 시·도지사
- ㉠ 7, ㉡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
- ㉠ 7, ㉡ 시·도지사
[ 47.] 소방기본법상 관계인의 소방활동을 위반하여 정당한 사유없이 소방대가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사람을 구출하는 조치 또는 불을 끄거나 불이 번지지 아니하도록 하는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100만 원 이하의 벌금
- 200만 원 이하의 벌금
- 300만 원 이하의 벌금
- 400만 원 이하의 벌금
[ 48.] 소방기본법상 소방대장의 권한이 아닌 것은?
-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화재의 원인 및 피해 등에 대한 조사
- 화재, 재난·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 소방활동구역을 정하여 소방활동에 필요한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외에는 그 구역에 출입하는것을 제한
- 사람을 구출하거나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화재가 발생하거나 불이 번질 우려가 있는 소방대상물 및 토지를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그 사용의제한 또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처분
- 화재 진압 등 소방활동을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소방용수 외에 댐·저수지 또는 수영장 등의 물을 사용하거나 수도의 개폐장치 등을 조작
[ 49.] 시장지역에서 화재로 오인할 만한 우려가 이는 불을 피우거나 연막소독을 하려는 자가 신고를 하지 아니하여 소방자동차를 출동하게 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·징수권자는?
- 국무총리
- 국민안전처장관
- 시·도지사
- 소방서장
[ 50.]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완공검사 신청 시기 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지하탱크가 있는 제조소등의 경우에는 당해 지하탱크를매설하기 전
- 이동탱크저장소의 경우에는 이동저장탱크를 완공하고 상치장소를 확보한 후
- 이송취급소의 경우에는 이송배관 공사의 전체 또는 일부완료한 후
- 배관을 지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소방서장이 지정하는 부분을 매몰하고 난 직후
[ 51.]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하자를 보수하여야 하는 소방시설과 소방시설별 하자보수 보증기간으로 옳은 것은?
- 유도등 : 1년
- 자동소화장치 : 3년
- 자동화재탐지설비 : 2년
- 상수도소화용수설비 : 2년
[ 52.]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 또는 일반 취급소에서 취급하는 제 4류 위험물의 최대 수량의 합이 지정수량의 24만 배이상 48만 배 미만인 사업소의 관계인이 두어야 하는 화학소방자동차와 자체소방대원의 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?
(단, 화재 그 밖의 재난발생시 다른 사업소 등과 상호응원에관한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사업소는 제외한다.)
- 화학소방자동차 : 2대, 자체소방대원의 수 : 10인
- 화학소방자동차 : 3대, 자제소방대원의 수 : 10인
- 화학소방자동차 : 3대, 자제소방대원의 수 : 15인
- 화학소방자동차 : 4대, 자제소방대원의 수 : 20인
[ 53.]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서 종합상황실의 실장이 서면·모사전송 또는 컴퓨터통신 등으로 소방본부의 종합상황실에 지체 없이 보고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사망자가 5인 이상 발생하거나 사상자가 10인 이상 발생한 화재
-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에서 발생한 화재
- 이재민이 50인 이상 발생한 화재
- 재산피해액이 50억 원 발생한 화재
[ 54.] 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16층 이상 40층 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 공사현장에 배치하여야 할 소방공사 책임감리원의 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총리령으로 정하는 특급감리원 중 소방기술사
- 총리령으로 정하는 특급감리원 이상의 소방공사 감리원(기계분야 및 전기분야)
- 총리령으로 정하는 고급감리원 이상의 소방공사 감리원(기계분야 및 전기분야)
- 총리령으로 정허는 중급감리원 이상의 소방공사 감리원(기계분야 및 전기분야)
[ 55.]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사용하는 방염대상물품의 방염성능검사방법과 검사 결과에 따른 합격 표시 등에 필요한 사항은 무엇으로 정하는가?
- 대통령령
- 총리령
- 국민안전처장관령
- 시·도의 조례
[ 56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문화 및 집회시설로서 연면적이 1000㎡ 이상인 것
- 지하가 (터널은 제외)로서 연면적이 1000㎡ 이상인 것
- 의료시설(정신의료기관 또는 요양병원은 제외
-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1000㎡ 이상인 것
[ 57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상 시·도지사는 관리업자에게 영업정지를 명하는 경우로서 그 영업정지가 국민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영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얼마 이하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가?
- 1000만원
- 2000만원
- 3000만원
- 5000만원
[ 58.]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시·도지사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소방용수 시설을 설치하고 유지·관리하여야 한다.
- 수도법의 규정에 따라 설치된 소화전도 시·도지사가 유지·관리하여야 한다.
-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원활한 소방활동을 위하여 소방용수시설에 대한 조사를 월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한다.
- 소방용수시설 조사의 결과는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.
[ 59.]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방시설등을 구성하는 것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설, 이전 또는 정비하는 공사의 경우 소방시설공사의 착공신고 대상이 아닌 것은? (단, 고장 또는 파손 등으로 인하여 작동시킬 수 없는 소방시설을 긴급히 교체하거나 보수하여야 하는 경우는 제외한다.)
- 수신반
- 소화펌프
- 동력(감시)제어반
- 압력챔버
[ 60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건축허가 등의 동의를 요구하는 때 동의요구서에 첨부하여야하는 설계도서가 아닌 것은? (단, 소방시설공사 착공신고대상에 해당하는 경우이다.)
- 창호도
- 실내 전개도
- 건축물의 단면도
- 건축물의 주단면 상세도(내장 재료를 명시한 것)
【4과목】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(20문제)
[ 61.] 비상방송설비는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하로 하여야하는가?
- 5
- 10
- 20
- 30
[ 62.] 비상콘센트설비 전원회로의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?
- 전원회로는 단상교류 220V인 것으로서, 그 공급용량은3.0kVA 이상인 것으로 할 것
- 비상콘텐트용의 풀박스 등은 방정도장을 한 것으로, 두께2.0㎜ 이상의 철판으로 할 것
-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8개 이하로할 것
- 전원으로부터 각 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는 분기배선용 차단가를 보호함안에 설치할 것
[ 63.] 비상벨 설비 또는 자동사이렌설비의 지구 음향 장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,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?
- 15
- 25
- 40
- 50
[ 64.] 자동화재탐지설비 중계기에 예비전원을 사용하는 경우 구조 및 기능 기준 중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
[ 축전지의 충전시험 및 방전시험은 방전종지전압을 기준하여 시작한다. 이 경우 방전종지전압이라 함은 원통형 니켈카드뮴축전지는 셀당 ( ㉠ )V의 상태를, 무보수밀폐 형연 축전지를 단전자당 ( ㉡ )V의 상태를 말한다. ]
- ㉠ 1.0, ㉡ 1.5
- ㉠ 1.0, ㉡ 1.75
- ㉠ 1.6, ㉡ 1.5
- ㉠ 1.6, ㉡ 1.75
[ 65.]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용어의 정의 중 옳은 것은?
- “저압”이란 직류는 750V 이하, 교류는 600V 이하인 것을말한다.
- “저압”이란 직류는 700V 이하, 교류는 600V 이하인 것을말한다.
- “고압”이란 직류는 700V를, 교류는 600V를 초과하는 것을 말한다.
- “특고압”이란 8kV를 초과하는 것을 말한다.
[ 66.] 자동화재속설비 속보기의 기능 기준 중 옳은 것은?
-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1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,3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한다.
- 예비전원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역충전 방지 등의조치를 하여야 한다.
- 예비전원은 감시상태를 30분간 지속한 후 10분은 이상 동작이 지속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.
- 속보기는 연동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다이얼링 후 소방관서와 전화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않는 경우에는 최초 다이얼링을 포함하여 20회 이상 반복적으로 접속을 위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야 한다. 이 경우 매회 지속되어야 한다.
[ 67.]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 기준 중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
[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( ㉠ )m 보행거리 이내마다 ( ㉡ )개 이상 설치할 것 ]
- ㉠ 25, ㉡ 1
- ㉠ 25, ㉡ 3
- ㉠ 50, ㉡ 1
- ㉠ 50, ㉡ 3
[ 68.]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또 동축케이블의 임피던스는 몇 Ω으로 하여야 하는가?
- 5Ω
- 10Ω
- 50Ω
- 100Ω
[ 69.] 무선통신보조설비 증폭기 무선이동중계기를 설치하는 경우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?
-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, 전지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, 전원까지의 배선은전용으로 할 것
-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류계를 설치 할 것
-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- 무선이동중계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「전파법」의 규정에 따른 적합성평가를 받은 제품으로 설치할 것
[ 70.] 피난설비의 설치면제 요건의 규정에 따라 옥상의 면적이 몇㎡ 이상이어야 그 옥상의 직하층 또는 직상층 (관람집회 및운동시설 또는 판매시설 제외) 그 부분에 피난기구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가? ( 단, 숙박시설[휴양콘도미니엄을 제외]에 설치되는 완강기 및 간이완강기의 경우에 제외한다. )
- 500
- 800
- 1000
- 1500
[ 71.] 창각장애인용 시각정보장치의 설치기준 중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 부터 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가?
- 015
- 0.3
- 0.5
- 0.7
[ 72.]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를 열전대식 자동식분포형으로 설치하려고 한다.바닥면적이 256㎡일 경우 열전대부와 검출부는 각각 최소 몇 개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?
- 열전대부 11개, 검출부 1개
- 열전대부 12개, 검출부 1개
- 열전대부 11개, 검출부 2개
- 열전대부 12개, 검출부 2개
[ 73.] 자동화재탐지설비 발신기의 작동기능 기준 중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 (단, 이 경우 누름판이 있는 구조로서 손끝으로 눌러 작동하는 방식의 작동스위치는 누름판을 포함한다.)
[ 발신기의 조작부는 작동스위치의 동작방향으로 가하는힘이 ( ㉠ )kg을 초과하고 ( ㉡ )kg이하인 범위에서 확실하게 동작되어야 하며, ( ㉢ )kg 힘을 가하는 경우 동작되지 아니하여야 한다. ]
- ㉠ 2, ㉡ 8
- ㉠ 3, ㉡ 7
- ㉠ 2, ㉡ 8
- ㉠ 3, ㉡ 7
[ 74.] 객석 통로의 직선부분의 길이가 25m 안 영화관의 통로에 객석유도등을 설치하는 경우 최소 설치 개수는?
- 5
- 6
- 7
- 8
[ 75.]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 감지기의 구조 및 기능 기준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- 공기관은 하나의 길이(이음매가 없는 것)가 ( ㉠ )m 이상의 것으로 안지름 및 관의 두께가 일정하고 흠, 갈라짐 및 변형이 없어야 하며, 부식되지 아니하여야 한다.
- 공기관의 두께는 ( ㉡ )㎜ 이상, 바깥지름은 ( ㉢ )㎜이상이어야 한다.
- ㉠ 10, ㉡ 0.5, ㉢ 1.5
- ㉠ 20, ㉡ 0.3, ㉢ 1.9
- ㉠ 10, ㉡ 0.3, ㉢ 1.9
- ㉠ 20, ㉡ 0.5, ㉢ 1.5
[ 76.] 광전식분리형감지기의 설치기준 중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몇 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하는가?
- 0.6
- 0.8
- 1
- 1.5
[ 77.]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지하층에 적응성을 가진 피난기구는?
- 피난용 트랩
- 피난사다리
- 피난교
- 구조대
[ 78.] 누전경보기 부품의 구조 및 기능 기준 중 누전경보기에 변압기를 사용하는 경우 변압기의 정격 1차 전압은 몇 V 이하로 하는가?
- 100
- 200
- 300
- 400
[ 79.] 누전경보기 수진부의 구조 기준 중 틀린 것은?
- 2급 수신부에는 전원 입력측의 회로에 단락이 생기는 경우에 유효하게 보호되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.
- 주전원의 양극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설치하여야 한다. 다만, 보수 시에 전원공급이 자동적으로 중단되는 방식은 그렇지 아니하다.
- 감도조정장치를 제외하고 감도조정부는 외함의 바깥쪽에 노출되지 아니 하여야 한다.
- 전원입력측의 양건 (1회산용은 1선 이상) 및 외부부하에 집적 전원을 소출하도록 구성된 회로에는 퓨즈 또는 브레이커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.
[ 80.] 발신기의 외함을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외함의 최소 두께는 몇 ㎜ 이상이어야 하는가?
- 5
- 12
- 1.6
- 1.2
2회차를 풀고 있습니다. 나머지 회차도 꼭 풀어보세요.
2022.02.13 - [소방설비(전기분야)] - 2017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
2022.02.14 - [소방설비(전기분야)] - 2017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
'소방설비기사-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4 |
---|---|
2017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4 |
2017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2) | 2022.02.13 |
2016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3 |
2016년 2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