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방기사를 따려고 하는데 도대체 뭐부터 해야할지 막막하다면 하루 30분 과년도문제와 답만 죽어라 반복하세요. 반복하면할수록 어 이문제 나왔던건데 또 나왔네 ! 어 이문제 토시도 안빼고 그대로나오네. 어 이문제.. 눈에 익기 시작할겁니다. 네 그렇습니다 과년도문제는 그렇게 하는것이 제일 빠릅니다. 반복하세요. 2018년도 제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입니다.
2018년 1회 소방설비기사-목차
【1과목】 소방원론
【2과목】 소방전기일반
【3과목】 소방관계법규
【4과목】 소방 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
【1과목】 소방원론 (20문제)
[ 1.] pH 9 정도의 물을 보호액으로하여 보호액 속에 저장하는 물질은?
- 나트륨
- 탄화칼슘
- 칼륨
- 황린
[ 2.] 고분자 재료와 열적 특성의 연결이 옳은 것은?
- 풀리염화비닐 수지 - 열가소성
- 페놀 수지 - 열가소성
- 폴리에틸렌 수지 - 열경화성
- 멜라민 수진 - 열가소성
[ 3.] 소화약제로 물을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?
- 촉매역할을 하기 때문에
- 증발잠열이 크기 때문에
- 연소작용을 하기 때문에
- 제거작용을 하기 때문에
[ 4.] 대두유가 침적된 기름걸레를 쓰레기통에 장시간 방치한 결과 자연발화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 그 이유로 옳은 것은?
- 분해열 축적
- 산화열 축적
- 흡착열 축적
- 발효열 축적
[ 5.] 다음 그림에서 목조 건물의 표준 화재 온도 시간 곡선으로 옳은 것은?
- a
- b
- c
- d
[ 6.] 포소화약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?
- 부착성이 있을 것
- 유동성과 내열성이 있을 것
- 응집성과 안정성이 있을 것
- 소포성이 있고 기화가 용이할 것
[ 7.] 탄화칼슘이 물과 반응 시 발생하는 가연성 가스는?
- 메탄
- 포스핀
- 아세틸렌
- 수소
[ 8.] 건축물의 바깥쪽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 기분 중 계단의 유효너비는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?
- 0.6
- 0.7
- 0.8
- 0.9
[ 9.] 0℃, 1atm 상태에서 부탁(C4H10) 1mol을 완전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산소의 mol 수는?
- 2
- 4
- 5.5
- 6.5
[ 10.] 상온, 상압에서 액체인 물질은?
- CO₂
- Halon 1301
- Halon 1211
- Halon 2402
[ 11.] MOC(Minimum Oxygen Concentration : 최소 산소 농도)가 가장 작은 물질은?
- 메탄
- 에탄
- 프로판
- 부탄
[ 12.]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?
- 알루미늄분
- 유황
- 팽창질석
- 소맥분
[ 13.] 소화의 방법으로 틀린 것은?
- 가연성 물질을 제거한다.
- 불연성 가스의 공기 중 농도를 높인다.
-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한다.
- 가연성 물질을 냉각시킨다.
[ 14.] 수성막포 소화약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 수성막의 형성이 용이하다.
- 기름에 의한 오염이 적다.
- 다른 소화약제와 병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.
- 불소계 계면활성제가 주성분이다.
[ 15.] 1기압상태에서, 100℃ 물 1g이 모두 기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량은 몇 cal인가?
- 429
- 499
- 539
- 639
[ 16.] 다음 중 발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은?
- 휘발유
- 이황화탄소
- 적린
- 황린
[ 17.]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하는 위험물의 한계에 대한 정의로 틀린 것은?
- 유황은 순도가 60 중량퍼센트 이상인 것
- 인화성고체는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40도 미만인 고객
-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5 중량퍼센트 이상인 것
- 제1석유류는 아세톤, 휘발유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섭씨 21도 미만인 것
[ 18.] 건축물 내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의 기준은 각각 몇 m 이하인가?
- 2.5
- 3.0
- 3.5
- 4.0
[ 19.] Fourier법칙(전도)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이동열량은 전열체의 단면적에 비례한다.
- 이동열량은 전열체의 두께에 비례한다.
- 이동열량은 전열체의 열전도도에 비례한다.
- 이동열량은 전열체 내·외부의 온도차에 비례한다.
[ 20.] 다음의 가연성 물질 중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은?
- 수소
- 에틸렌
- 아세틸렌
- 이황화탄소
【2과목】 소방전기일반 (20문제)
[ 21.] 다음과 같은 결합회로의 합성인덕턴스로 옳은 것은?
- L₁+L₂+2M
- L₁+L₂-2M
- L₁+L₂-M
- L₁+L₂+M
[ 22.] 그림과 같이 전압계 V₁, V₂, V₃와 5Ω의 저항 R을 접속하였다. 전압계의 지시가 V₁=20V, V₂=40V, V₃=50V라면 부하 전력은 몇W인가?
- 50
- 100
- 150
- 200
[ 23.] 권선수가 100회인 코일을 200회로 늘리면 코일에 유기되는 유도기전력은 어떻게 변화 하는가?
- 1/2로 감소
- 1/4로 감소
- 2배로 증가
- 4배로 증가
[ 24.] 회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계측기의 연결방법으로 옳은 것은?
- 전압계 : 부하와 직렬, 전류계 : 부하와 병렬
- 전압계 : 부하와 직렬, 전류계 : 부하와 직렬
- 전압계 : 부하와 병렬, 전류계 : 부하와 병렬
- 전압계 : 부하와 병렬, 전류계 : 부하와 직렬
[ 25.] 3상유도전동기 Y-△ 기동회로의 제어요소가 아닌 것은?
- MCCB
- THR
- MC
- ZCT
[ 26.] 제어동작에 따른 제어계의 분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- 미분동작 : D동작 또는 rate동작이라고 부르며, 동작신호의 기울기에 비례한 조작신호를 만든다.
- 적분동작 : I동작 또는 리셋동작이라고 부르며, 적분값의크기에 비례하여 조절신호를 만든다.
- 2위치제어 : on/off 동작이라고도 하며, 제어량이 목표값보다 작은지 큰지에 따라 조작량으로 on 또는 off의 두가지 값의 조절 신호를 발생한다.
- 비례동작 : P동작이라고도 부르며, 제어동작신호에 반비례하는 조절신호를 만드는 제어동작이다.
[ 27.] 용량0.02μF 콘덴서 1개를 병렬로 접속하여 24V의 전압을 가하였다. 합성용량은 몇 μF이며, 0.01μF 콘덴서에 축적되는 전하량은 몇 C인가?
- 0.05, 0.12×10-6
- 0.05, 0.24×10-6
- 0.03, 0.12×10-6
- 0.03, 0.24×10-6
[ 28.] 불대수의 기본정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- A+A=A
- A+1=1
- Aㆍ0=1
- A+0=A
[ 29.] RLC 직렬공진회로에서 제n고조파의 공진주파수(fn)는?
[ 30.] 대칭 3상 Y부하에서 각 상의 임피던스는 20Ω이고, 부하 전류가 8A일 때 부하의 선간접압은 약 몇 V인가?
- 160
- 226
- 277
- 480
[ 31.] R=10Ω, wL=20Ω 인 직렬회로에 220V의 전압을 가하는 경우 전류와 전압과 전류의 위상각은 각각 어떻게 되는가?
- 24.5A, 26.5°
- 9.8A, 63.4°
- 12.2A, 13.2°
- 73.6A, 79.6°
[ 32.] 터널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?
- 스위칭작용
- 증폭작용
- 발진작용
- 정전압 정류작용
[ 33.] 집적회로(IC)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?
- 시스템이 대형화된다.
- 신뢰성이 높으나, 부품의 교체가 어렵다.
- 열에 강하다.
- 마찰에 의한 정전기 영향에 주의해야 한다.
[ 34.] PB-on 스위치와 병렬로 접속된 보조접점 X-a의 역할은?
- 인터록 회로
- 자기유지회로
- 전원차단회로
- 램프점등회로
[ 35.] 1차 권선수 10회, 2차 권선수 300회인 변압기에서 2차 단자 전압 1500V가 유도되기 위한 1차 단자전압은 몇 V인가?
- 30
- 50
- 120
- 150
[ 36.] 교류에서 파형의 개략적인 모습을 알기 위해 사용하는 파고율과 파형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?
- 파고율 = 실효값 / 평균값, 파형율 = 평균값 / 실효값
- 파고율 = 최대값 / 실효값, 파형율 = 실효값/ 평균값
- 파고율 = 실효값 / 최대값, 파형율 = 평균값 / 실효값
- 파고율 = 최대값 / 평균값, 파형율 = 평균값 / 실효값
[ 37.] 배전선에 6000V의 전압을 가하였더니 2mA의 누설전류가 흘렀다. 이 배전선의 절연저항은 몇MΩ인가?
- 3
- 6
- 8
- 12
[ 38.]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에서 교류 220V를 직류 24V로 정류 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?
- 변압기
- 트랜지스터
- 정류 다이오드
- 평활 콘덴서
[ 39.] 다음 그림과 같은 계통의 전달함수는?
[ 40.] 단상 유도전동기의 Slip은 5.5[%], 회전자의 속도가 1700rpm인 경우 동기속도(Ns)는?
- 3090rpm
- 9350rpm
- 1799rpm
- 1750rpm
【3과목】 소방관계법규 (20문제)
[ 41.] 소방시설공사업법령상 소방시설공사 완공 검사를 위한 현장 확인 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범위가 아닌 것은?
- 위락시설
- 판매시설
- 운동시설
- 창고시설
[ 42.] 소방기본법령상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의 기준 중 다음( ) 안에 알맞은 것은? (단, 석탄·목탄류를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경우는 제외한다.)
[ 살수설비를 설치하거나, 방사능력 범위에 해당 특수가연물이 포함되도록 대형수동식소화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쌓는 높이를 ( ㉠ )m 이하, 석탄·목탄류의 경우에는 쌓는부분의 바닥면적을 ( ㉡ )㎡ 이하로 할 수 있다.]
- ㉠ 10, ㉡ 50
- ㉠ 10, ㉡ 200
- ㉠ 15, ㉡ 200
- ㉠ 15, ㉡ 300
[ 43.]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시·도지사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당해제조소등을 설치할 수 있는 기준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것은?
[ 농예용·축산용 또는 수산용으로 필요한 난방시설 또는건조시설을 위한 지정수량 ( )배 이하의 저장소 ]
- 20
- 30
- 40
- 50
[ 44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중 옳은 것은?
- 연면적 600㎡ 미만의 아파트 등
- 연면적 1000㎡ 미만의 기숙사
- 연면적 1000㎡ 미만의 숙박시설
- 교육연구시설 또는 수련시설 내에 있는 합숙소 또는 기숙사로서 연면적 1000㎡ 미만인 것
[ 45.] 소방기본법령상 일반음식점에서 조리를 위하여 불을 사용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지켜야 하는 사항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-주방설비에 부속된 배기닥트는 ( ㉠ )㎜ 이상의 아연도금 강판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내식성 불연재료로 설치 할 것
-열을 발생하는 조리기구로부터 ( ㉡ )m 이내의 거리에 있는 가연성 주요구조부는 석면판 또는 단열성이 있는 불연 재료로 덮어씌울 것
- ㉠ 0.5, ㉡ 0.15
- ㉠ 0.5, ㉡ 0.6
- ㉠ 0.6, ㉡ 0.15
- ㉠ 0.6, ㉡ 0.5
[ 46.] 소방기본법령상 특수가연물의 품명별 수량 기준으로 틀린것은?
- 합성수지류(발포시킨 것) : 20㎥ 이상
- 가연성액체류 : 2㎥ 이상
-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: 400kg 이상
- 볏짚류 : 1000kg 이상
[ 47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용어의 정의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[ 특정 소방대상물이란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대상물로서 ( )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. ]
- 행정안전부령
- 국토교통부령
- 고용노동부령
- 대통령령
[ 48.] 소방시설공사업법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 또는 발주자가 해당 도급계약의 수급인을 도급계약 해지할 수 있는 경우의 기준 중 틀린 것은?
- 하도급 계약의 적정성 심사 결과 하수급인 또는 하도급 계약 내용의 변경 요구에 정당한 사유 없이 따르지 아니하는 경우
- 정당한 사유 없이 15일 이상 소방시설공사를 계속하지 아니하는 경우
- 소방시설업이 등록 취소되거나 영업 정지된 경우
- 소방시설업을 휴업하거나 폐업한 경우
[ 49.]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인화성액체위험물(이황화탄소를 제외)의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여야 하는 방유제의 설치 기준 중 틀린 것은?
- 방유제 내의 면적은 60000㎡ 이하로 하여야 한다.
- 방유제는 높이 0.5m 이상 3m 이하, 두께 0.2 이상, 지하매설깊이 1m 이상으로 할 것. 다만, 방유제와 옥외저장탱크 사이의 지반면 아래에 불침윤성 구조물을 설치하는경우에는 지하매설깊이를 해당 불침윤성 구조물까지로 할 수 있다.
- 방유제의 용량은 방유제 안에 설치된 탱크가 하나인 때에는 그 탱크 용량의 110% 이상, 2기 이상인 때에는 그탱크 중 용량이 최대인 것의 용량의 110%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.
- 방유제는 철근콘크리트로 하고, 방유제와 옥외저장탱크사이의 지표면은 불연성과 불침윤성이 있는 구조(철근콘크리트 등)로 할 것. 다만, 누출된 위험물을 수용할 수 있는 전용유조 및 펌프 등의 설비를 갖춘 경우에는 방유제와 옥외저장탱크 사이의 지표면을 흙으로 할 수 있다.
[ 50.] 소방기본법상 시·도지사가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할 필요가 있는 지역을 화재경계지구로 지정하지 아니하는 경우 해당 시·도지사에게 해당 지역의 화재경계지구 지정을 요청할 수 있는 자는?
- 행정안전부장관
- 소방청장
- 소방본부장
- 소방서장
[ 51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상 소방안전 특별관리시설물의 대상 기준 중 틀린 것은?
- 수련시설
- 항만시설
- 전력용 및 통신용 지하구
- 지정문화재인 시설(시설이 아닌 지정문화재를 보호하거나 소장하고 있는 시설을 포함)
[ 52.]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용수시설별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?
- 저수조는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.5m 이상일 것
- 소화전은 상수도와 연결하여 지하식 또는 지상식의 구조로하고, 소방용 호스와 연결하는 소화전의 연결금속구의 구경은 50㎜로 할 것
- 저수조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㎝ 이상일 것
- 급수탑 급수배관의 구경은 65㎜ 이상으로 하고, 개폐밸브는 지상에서 0.8m 이상, [ 1.]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할 것
[ 53.]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업무상 과실로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유출·방출 또는 확산시켜 사람의 생명·신체 또는 재산에 대하여 위험을 발생시킨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나 1억 원 이하의 벌금
- 7년 이하의 금고 또는 7천만 원 이하의 벌금
-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
-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
[ 54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상 중앙소방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?
- 화재안전기준에 관한 사항
- 소방시설의 설계 및 공사감리의 방법에 관한 사항
- 소방시설에 하자가 있는지의 판단에 관한 사항
- 소방시설공사의 하자를 판단하는 기준에 고나한 사항
[ 55.]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의 위치·구조 및 설비의 기준중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 그 밖의 시설의 주위에는 그취급하는 위험물을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 이하인 경우 보유하여야 할 공지의 너비는 몇 m 이상 이어야 하는가?
- 3
- 5
- 8
- 10
[ 56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종합정밀점검 실시 대상이 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
-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 [호스릴방식의 물분무등소화설비만을 설치한 경우는 제외]가 설치된 연면적 ( ㉠ )㎡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(위험물제조소등은 제외)
-아파트는 연면적 ( ㉠ )㎡ 이상이고 ( ㉡ )층 이상인것 만 해당
- ㉠ 2000, ㉡ 7
- ㉠ 2000, ㉡ 11
- ㉠ 5000, ㉡ 7
- ㉠ 5000, ㉡ 11
[ 57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화재안전기준을 달리 적용하여야 하는 특수한 용도 또는 구조를 가진 특정 소방 대상물인 원자력 발전소에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소방시설은?
- 물분무등소화설비
- 스프링클러설비
- 상수도소화용수설비
- 연결살수설비
[ 58.] 소방기본법상 소방업무의 응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
-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소방활동을 할 때에 긴급한 경우에는 이웃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소방업무의 응원을 요청할 수 있다.
- 소방업무의 응원 요청을 받은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정당한 사유 없이 그 요청을 거절하여서는 아니 된다
- 소방업무의 응원을 위하여 파견된 소방대원은 응원을 요청한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지휘에 따라야 한다.
- 시·도지사는 소방업무의 응원을 요청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출동 대상지역 및 규모와 필요한 경비의 부담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웃하는 시·도지사와 협의하여 미리 규약으로 정하여야 한다.
[ 59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가 소방훈련 및 교육을 하지 않은 경우 1차 위반 시 과태료 금액 기준으로 옳은 것은?
- 200만원
- 100만원
- 50만원
- 30만원
[ 60.] 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상 공동 소방안전관리자 선임대상 특정소방대상물의 기준 중 틀린 것은?
- 판매시설 중 상점
- 고층 건축물(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건축물만 해당)
- 지하가(지하의 인공구조물 안에 설치된 상점 및 사무실,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이 연속하여 지하도에 접하여설치된 것과 그 지하도를 합한 것)
-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이 5000㎡이상인 것 또는 층수가 5층 이상인 것
【4과목】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(20문제)
[ 61.] 누전경보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의 기준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 (단,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, 지하가 중 터널 또는 지하구의 경우는 제외한다.)
[ 누전경보기는 계약전류용량이 ( )A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 (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·바닥 또는 반자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가 아닌 재료에철망을 넣어 만든 것만 해당)에 설치하여야 한다. ]
- 60
- 100
- 200
- 300
[ 62.] 북도통로유도등의 식별도 기준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[ 복도통로유도등에 있어서 사용전원으로 등을 켜는 경우에는 직선거리 ( ㉠ )m의 위치에서, 비상전원으로 등을 켜는 경우에는 직선거리 ( ㉡ )m의 위치에서 보통시력에 의하여 표시면의 화살표가 쉽게 식별되어야한다. ]
- ㉠ 15, ㉡ 20
- ㉠ 20, ㉡ 15
- ㉠ 30, ㉡ 20
- ㉠ 20, ㉡ 30
[ 63.]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7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000 ㎡이상이거나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㎡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콘센트 설비에 설치하여야 할 비상전원의 종류가 아닌 것은?
- 비상전원수전설비
- 자가발전설비
- 전기저장장치
- 축전지설비
[ 64.] 수신기의 구조 및 일반기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? (단,간이형수신기는 제외한다.)
- 수신기(1회선용은 제외한다)는 2회선이 동시에 작동하여도 화재표시가 되어야 하며, 감지기의 감지 또는 발신기의 발신개시로부터 P형, P형복합식, GP형, GP형복합식, R형, R형복합식 수신기의 수신완료까지의 소요시간은 5초(축적형의 경우에는 60초)이내이어야 한다.
- 수신기의 외부배선 연결용 단자에 있어서 공통신호선용단자는 10개 회로마다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.
-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P형, P형복합식, GP형, GP형복합식, R형, R형복합식, GR형 또는 GR형복합식의 수신기에 있어서는 2이상의 지구표시장치에 의하여 각각 화재를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.
- 정격전압이 60V를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.
[ 65.]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?
-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,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의 옥내 간선으로 하고,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.
-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사이렌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 설비(수신기에 내장하는 경우를 포함)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.
-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,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2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. 다만,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.
- 발신기의 위치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, 그 불빛은부착면으로부터 45°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설치하여야 한다.
[ 66.] 비상방송설비 음향장치의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?
-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, 그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15m 이하가 되도록 하고, 해당 층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
-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 ㎡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직상층에만 경보를 발할 것
- 음향장치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수 있는 것으로 할 것
-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60%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
[ 67.]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기능에 대한 기준 중 틀린 것은?
- 작동신호를 수신하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30초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, 3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한다.
- 예비전원을 병렬로 접속하는 경우에는 역충전 방지 등의조치를 하여야 한다.
- 연동 또는 수동으로 소방관서에 화재발생 음성정보를 속보중인 경우에도 송수화장치를 이용한 통화가 우선적으로 가능하여야 한다.
- 속보기의 송수화장치가 정상위치가 아닌 경우에도 연동또는 수동으로 속보가 가능하여야 한다.
[ 68.] 피난기구 설치 개수의 기준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[ 층마다 설치하되, 숙박시설·노유자시설 및 의료시설로 사용되는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( ㉠ )㎡마다, 위락시설·판매시설로 사용되는 층 또는 복합용도의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( ㉡ )㎡마다, 계단실형 아파트에 있어서는 각 세대마다, 그 밖의 용도의 층에 있어서는 그 층의 바닥면적 ( ㉢ )㎡마다 1개 이상 설치 할 것 ]
- ㉠ 300, ㉡ 500, ㉢ 1000
- ㉠ 500, ㉡ 800, ㉢ 1000
- ㉠ 300, ㉡ 500, ㉢ 1500
- ㉠ 500, ㉡ 800, ㉢ 1500
[ 69.]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·소매시장·여객자동차터미널·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인 경우 그 부분에서 피난층에 이르는 부분의 비상조명등을 몇 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하여야 하는가?
- 10
- 20
- 30
- 60
[ 70.]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기준 중 다음( ) 안에 알맞은 것은?
[ ( ㉠ )으로서 특정소방대상물의 바닥부분 2면 이상이 지표면과 동일하거나 지표면으로부터의 깊이가 ( ㉡ )m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층에 한하여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. ]
- ㉠ 지하층, ㉡ 1
- ㉠ 지하층, ㉡ 2
- ㉠ 무창층, ㉡ 1
- ㉠ 무창층, ㉡ 2
[ 71.] 일시적으로 발생한 열·연기 또는 먼지 등으로 인하여 화재신호를 발신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설치장소별 감지기 적응성기준 중 항공기 격납고, 높은 천장의 창고 등 감지기 부착높이가 8m 이상의 장소에 적응성을 갖는 감지기가 아닌 것은? (단, 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이며, 설치장소는 넓은 공간으로 천장이 높아 열 및 연기가 확산하는 환경상태이다.)
-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
-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
-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
- 불꽃감지기
[ 72.] 비상벨설비 음향장치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몇 dB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하여야 하는가?
- 90
- 80
- 70
- 60
[ 73.]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 기준 중 다음( ) 안에 알맞은 것은?
[ 간이완강기의 적응성은 숙박시설의 ( ㉠ )층 이상에 있는 객실에, 공기안전매트의 적응성은 ( ㉡ )에 한한다. ]
- ㉠ 3, ㉡ 공동주택
- ㉠ 4, ㉡ 공동주택
- ㉠ 3, ㉡ 단독주택
- ㉠ 4, ㉡ 단독주택
[ 74.] 승강식피난기 및 하양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?
- 착지점과 하강구는 상호 수평거리 15㎝ 이상의 간격을 두어야 한다.
- 대피실 출입문이 개방되거나, 피난기구 작동 시 해당 층 및 직상층 거실에 설치된 표시등 및 경보장치가 작동되고, 잠시 제어반에서는 피난기구의 작동을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.
- 하강구 내측에는 기구의 연결 금속구 등이 없어야 하며 전개된 피난기구는 하강구 수평투영면적 공간 내의 범위를 침범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할 것. 단, 직경 60㎝ 크기의 범위를 벗어난 경우이거나, 직하층의 바닥 면으로부터 높이 50㎝ 이하의 범위는 제외한다.
- 대피실 내에는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여야 한다.
[ 75.]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부와 외함사이의 절연 내력 기분 중 다음 ( ) 안에 알맞은 것은?
[ 전원부외 외함사이에 정격전압이 150V 이상인 경우에는그 정격전압에 ( ㉠ )을/를 곱하여 ( ㉡ )을 더한 실효전압을 가하는 시험에서 1분 이상 견디는 것으로 할 것 ]
- ㉠ 2, ㉡ 1500
- ㉠ 3, ㉡ 1500
- ㉠ 2, ㉡ 1000
- ㉠ 3, ㉡ 1000
[ 76.]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구조 기준 중 옳은 것은?
- 감도조정장치와 감도조정부는 외함의 바깥쪽에 노출되지 아니하여야 한다.
- 2급 수신부는 전원을 표시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.
- 전원입력측의 양선(1회선용은 1선 이상) 및 외부부하에 직접 전원을 송출하도록 구성된 회로에는 퓨즈 또는 브레이커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.
- 2급 수신부에는 전원 입력측의 회로에 단락이 생기는 경우에는 유효하게 보호되는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.
[ 77.] 특정소방대상물의 비상방송설비 설치의 면제 기준 중 다음 ( )안에 알맞은 것은?
[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하여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( )또는 비상경보설비와 같은 수준 이상의 음향을 발하는 장치를 부설한 방송설비를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그 설비의 유효범위에서 설치가 면제된다. ]
- 자동화재속보설비
- 시각경보기
- 단독경보형 감지기
- 자동화재탐지설비
[ 78.] 비상조명등의 일반구조 기준 중 틀린 것은?
- 상용전원전압의 130% 범위 안에서는 비상조명등 내부의 온도상승이 그 기능에 지장을 주거나 위해를 발생시킬염려가 없어야 한다.
- 사용전압은 300 V이하이어야 한다. 다만, 충전부가 노출되지 아니한 것은 300 V를 초과할 수 있다.
- 전선의 굵기가 인출선인 경우에는 단면적이 0.75㎟ 이상, 인출선외의 경우에는 단면적이 0.5㎟ 이상이어야 한다.
- 인출선의 길이는 전선인출 부분으로부터 150㎜ 이상이어야 한다. 다만, 인출선으로 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풀어지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전선을 쉽고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를 설치하여야 한다.
[ 79.] 광전식분리형감지기의 설치기준 중 틀린 것은?
- 감지기의 수광면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할 것
-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.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
-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0.5m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
-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 높이의 80% 이상일 것
[ 80.] 자동화재탐지설비 배선의 설치기준 중 옳은 것은?
- 감지기 사이의 회로의 배선은 교차회로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.
- 피(P)형 수신기 및 지피(G.P.)형 수신기의 감지기 회로의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10개 이하로 설치하여야 한다.
-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80Ω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며, 수신기의 각 회로별 종단에 설치되는 감지기에 접속되는 배선의 전압은 감지기 정격전압의 50% 이상이어야 한다.
-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·덕트·몰드 또는 풀박스 등에 설치할 것. 다만, 60V 미만의 약전류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으로서 각각의 전압이 같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.
현재 1회를 풀고 있습니다.
2022.02.14 - [소방설비(전기분야)] - 2018년 2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
2018년 2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
2018년도 2회 소방설비기사 과년도정리입니다. 과년도문제는 반복적으로 출시가 됨으로 반복만하셔도 충분히 합격이 가능합니다. 더보기를 누르면 정답 및 힌트가 노출됩니다. 자격검정 시행기
talktobro.tistory.com
2022.02.15 - [소방설비(전기분야)] - 2018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
2018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
2018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입니다. 반복합습만 하시면 합격합니다. 자주보는것이 중요합니다. 2018년 4회 소방설비기사-목차 【1과목】 소방원론 【2과목】 소방전
talktobro.tistory.com
'소방설비기사-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8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5 |
---|---|
2018년 2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4 |
2017년 4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4 |
2017년 2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0) | 2022.02.14 |
2017년 1회 소방설비기사(전기) 필기시험 과년도기출문제 (2) | 2022.02.13 |
댓글